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32)
[서버] 서버와 피씨의 차이점 서버와 PC의 차이점이 뭘까요? 우선 구글에 서버라고 검색을 해보면, 서버(영어: server)는 클라이언트에게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램(server program) 또는 장치(device)를 의미라고 나오는데 쉽게 설명하자면 서버와 PC는 구성과 근본은 크게 다르지 않다.다만 PC는 일반 사용자가 게임이나 영상 시청, 사무작업을 하는데 그래픽, 사운드 등 멀티미디어 환경을 제공하는데 초점을 두며, 반면 서버는 언제, 어디서나 접속할 수 있는 웹사이트 같은 ‘365일 중단 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신뢰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원칙적으로 서버에는 높은 안정성이 요구되므로, HP, IBM, Dell과 같이 유명한 서버 제조 업체가 제공하는 정품..
[자바스크립트] ajax처리 후 success시 result값을 남기기 H사의 AD와 OTP 인증을 처리하면서 기존 당사의 포탈의 로그인시스템에 연동을 할 일이 있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login 버튼을 누르면 function login에서 AD와 OTP의 연동 / 성공시 login을 시도하는 로직을 짜면서 ajax 요청 후에 성공하면 그 result값을 function login에서 다시 if문의 검증결과를 변수로 확인 하기 위해서 success시 result 값을 남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고싶어서 찾아본 결과, 1. async : false 를 통해서 비동기통신을 동기통신으로 바꿔준다. => 동기적이다 : 비동기적이다 (인증의 일처리는 항상 동기적이다. A로직이 완료된 후에 B로직이 처리되야 하는경우) AD로 예를들어서 , AD의 인증값이 true가 나왔을 경우 로그인을 ..
4개월차 개발자가 느끼는 인간에 대한 고찰(?) 개발자로 일하면서 요즘 정말많이 느끼는점이 공무원을 하거나, 군인 , 경찰들 보면 그냥 전문적인 지식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게 아니니까 서로 어느정도는 논리적으로 얘기함. 그런데 전문지식이 필요한 분야에서 일을 하다보니 정말 비논리적으로 얘기하는사람들을 많이봄 ex) 자기가 하던말 까먹음 ex) 자기가 주장하던 A라는 의견이 말하던 도중 B로 바뀜 ex) (원인과 결과) (이유와 주장)의 도출이 굉장히 개연적임ㅋㅋㅋㅋㅋㅋㅋ ex)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사람이 너무많음 내의견에 반대해? => 내 존재자체에 대한 부정을해??? 로 받아들임 정말 어려운게 할말, 반대하고싶은 의견이나 생각같은게 존나 많이 보이는데 논리적으로 설득할 에너지가 없어서 말을 안함.ㅋㅋ 말이 통하는사람하고만 얘기하게됨. *내기준에 똑똑..
[스프링] @Autowired, @Resource 차이점 두 어노테이션 모두 의존성 주입을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다만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Autowired는 스프링전용으로 나온 어노테이션이고, 타입에 맞춰서 의존성을 연결 한다. 반면, @Resource는 자바전용으로 나온 어노테이션이며, 이름에 맞춰서 의존성을 연결 한다. 스프링에서는 컨트롤러 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Controller ,Service, DAO 각각 다른 레이어에서 의존 관계를 유지하면서 처리하기 때문에 의존성 주입을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편리하고 쉽게 할수 있다. 만약 어노테이션이 없이 의존성 주입을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Autowired를 빼고 컨트롤러에서 서비스로 return 값에 return BService.save(abc); 를 요청했을 경우 에러는 뜨지않지만 nullPoi..
[스프링] 스프링의 이해 스프링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앞서 스프링의 구조와 동작방식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다. 스프링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사람에게 스프링을 이해시키려면 무엇부터 알아야 할까. 의존성 주입(DI)와 / 목적형 프로그래밍(AOP)가 되겠다만, 처음 공부하는사람에게 개념적인 이해보다는 스프링을 왜 쓰는가부터, 어떻게 쓰는가 (설치부터 config설정까지) 를 따라해보고, 차근차근 익혀나가는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MVC 패턴이라는것이 있는데, 애플리케이션을 Model,View,Controller로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동작하는것을 말한다. 장점은 비지니스로직과 프리젠테이션 로직을 구분할수 있다는것인데, 즉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영역을 분리하는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MVC 패턴의 흐름에..
웹 서버와 WAS 의 차이점 평소에 웹서버와 WAS 서버를 혼용해서 용어 사용을 하고있었던 터라 WAS 와 웹서버에 대한 차이점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마음을 먹었다. 마지막 포스팅은 테스트 WAS 서버를 만들어보는 포스팅이었는데, 그때는 WAS 서버가 로컬서버의 반댓말인지 알았다. 내 피씨에서만 접속할수 있으면 : 로컬서버 네트워크 대역대 공유하는 사람들이 전부 접속 가능하면: WAS 서버 하지만, 정확한 개념은 다음과 같다. 웹 서버는 정적인 컨텐츠( html, css, js )를 제공하는 서버 ex) Apache, Nginx WAS는 DB 조회나, 어떤 로직을 처리해야 하는 동적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ex) Tomcat, Jeus 그렇다면 내가 테스트 WAS 서버를 구축했는데 , 그것은 웹서버와 WAS 서버가 같이 작동하..
블로그 2일차: Linux WAS 서버 구축(2) jdk 설치 -> mariadb 설치 -> tomcat 설치 까지 완료했습니다. 근데 어제 저녁에 퇴근하려는데 tomcat에 올린 war파일을 인식못하는 ㅠㅠ 에러가 발생 해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했습니다. 1.방화벽 설정 확인 ( Centos7을 깔고 나서 yum으로 firewall을 다시 설치해줘야해요.) 2.war 파일 위치를 tomcat의 /usr/local/apache-tomcat-(버전)/webapps 위치를 잘 확인합니다. -> 이떄 블로그들에 webapps 안에 ROOT 가 있으면 엉킬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한번 밀고 다시 ftp로 밀어넣었습니다. 3. service 재시작 이 과정을 했는데도 수없이 404 에러를 만나야만 했습니다. ㅠㅠㅠㅠ ※ 제 문제는 jndi 설정에 있었습..
블로그 1일차: Linux WAS 서버 만들기(1) 신입개발자로 입사한지 49일차!! 처음 받은 임무는 -> was 서버 구축이였다. VM(가상환경)으로 서버를 만든 후 그위에 톰캣, 마리아DB를 올리고 나만의 웹 에플리케이션 서버를 만들어보자! 순서는 다음과 같다. 1. open-jdk ( 자바 jdk 설치 ) -yum으로 install 할경우 open-jdk 경로는 다음과 같다. etc/profile에 등록할때 조심!! 2. mariadb 설치 - root계정을 통해서 database 테이블을 생성하고 (여기에 sql문을 ftp로 떄려박을거야) - user에 grant privileges (db sql문으로 권한부여) - ftp를 통해서 sql문을 host pc 에서 가져와서 500개의 컬럼과 수만개의 데이터를 집어넣는다. -ftp로 받아서 mv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