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

(22)
[JS] 7가지 내장 타입 8월에 진행하던 자바스크립트 스터디에서 만들었던 ppt를 공유할려고 해요. 제 1강은 자바스크립트의 타입에 대한 내용들이었어요. 첫번째로, Spring을 사용하는 경우 자바스크립트로 ajax 요청을 통해 컨트롤러에 데이터를 요청하는 경우가 많을거 같은데요, 그때 데이터를 가지고 왔을 경우에 ajax 요청시 success 할 경우 그 리턴값을 javascript로 확인 하는 경우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곤 하죠. 물론 return 값을 string 값으로 "0" 등으로 받아서 if ( A( )== "0" ) 등으로 검사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더 정확한 방법은 typeof 연산자를 사용하는 거라고 책에 나와있네요. 그래서 저는 AD OTP 인증을 받는 함수에 성공하면 return을 "0" 을 실패하면 re..
[MySQL] 6강. Select / Insert / Delete 오늘 포스팅할 내용은 , 데이터베이스에서 일정 리소스양을 넘은 데이터들을 수집하는 sql문에 대해서 "SQL첫걸음" 이라는 책을 참고해서 쿼리를 수정해 봤습니다. INSERT insert into member (id, age, ex1, ex2, ex3, ex4, ex5, ex6, meber_desc, name) values (default, 30, 'A','B','C','D','E','F',20,'Koo') SELECT where 구 ( 리소스 중 사용율 30% 이상을 넘는 데이터만 수집) and / or 연산 is null / is not null > , >=, = , in 연산 Group by ( 그룹화) 그룹을 이용한 다양한 집계함수 사용 가능 함수 이름 설명 COUNT 레코드 수를 계산 SUM 숫..
[Java] LDAP java 연동하기 고객사의 AD 서버와 연동을 통해 2차인증을 구현하기 위해서 기존 로그인 인증 로직에 AD와 OTP 인증을 받는 소스를 추가했다. 1. javascript에서 모달을 띠운다음에 AD입력정보를 받고 (ajax async를 동기로 변경해서 사용) 2. 다음과 같이 서버 단에서 컬럼값을 하나 더 만들어서 dbUser에 UserID가 아닌 adID 등으로 찾아야함. 쿼리수정 요망.
[자바스크립트] ajax처리 후 success시 result값을 남기기 H사의 AD와 OTP 인증을 처리하면서 기존 당사의 포탈의 로그인시스템에 연동을 할 일이 있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login 버튼을 누르면 function login에서 AD와 OTP의 연동 / 성공시 login을 시도하는 로직을 짜면서 ajax 요청 후에 성공하면 그 result값을 function login에서 다시 if문의 검증결과를 변수로 확인 하기 위해서 success시 result 값을 남기는 방법에 대해서 알고싶어서 찾아본 결과, 1. async : false 를 통해서 비동기통신을 동기통신으로 바꿔준다. => 동기적이다 : 비동기적이다 (인증의 일처리는 항상 동기적이다. A로직이 완료된 후에 B로직이 처리되야 하는경우) AD로 예를들어서 , AD의 인증값이 true가 나왔을 경우 로그인을 ..
[스프링] @Autowired, @Resource 차이점 두 어노테이션 모두 의존성 주입을 위한 어노테이션이다. 다만 자세히 설명을 하자면, @Autowired는 스프링전용으로 나온 어노테이션이고, 타입에 맞춰서 의존성을 연결 한다. 반면, @Resource는 자바전용으로 나온 어노테이션이며, 이름에 맞춰서 의존성을 연결 한다. 스프링에서는 컨트롤러 부터 비즈니스 로직을 Controller ,Service, DAO 각각 다른 레이어에서 의존 관계를 유지하면서 처리하기 때문에 의존성 주입을 어노테이션을 통해서 편리하고 쉽게 할수 있다. 만약 어노테이션이 없이 의존성 주입을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 @Autowired를 빼고 컨트롤러에서 서비스로 return 값에 return BService.save(abc); 를 요청했을 경우 에러는 뜨지않지만 nullPoi..
[스프링] 스프링의 이해 스프링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앞서 스프링의 구조와 동작방식에 대해서 포스팅 하겠다. 스프링에 대해서 아무것도 모르는사람에게 스프링을 이해시키려면 무엇부터 알아야 할까. 의존성 주입(DI)와 / 목적형 프로그래밍(AOP)가 되겠다만, 처음 공부하는사람에게 개념적인 이해보다는 스프링을 왜 쓰는가부터, 어떻게 쓰는가 (설치부터 config설정까지) 를 따라해보고, 차근차근 익혀나가는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다. MVC 패턴이라는것이 있는데, 애플리케이션을 Model,View,Controller로 세 영역으로 구분하여 동작하는것을 말한다. 장점은 비지니스로직과 프리젠테이션 로직을 구분할수 있다는것인데, 즉 개발자와 디자이너의 영역을 분리하는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MVC 패턴의 흐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