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Ops (101) 썸네일형 리스트형 (15) 테라폼 모듈 (3) VPC & EKS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4주차 정리입니다.1. vpc 모듈 실습 모듈을 통해 코드 재사용성을 확보할수 있다모듈은 테라폼 구성의 집합 로컬 디렉토리의 테라폼 구성을 모듈화 할수도 있지만 다음과 같이 github 같은 퍼블릭 레포지토리도 모듈화 가능하다.✔️ 실습 1. (vpc )#git clone https://github.com/terraform-aws-modules/terraform-aws-vpc/tree terraform-aws-vpc/examples -L 1tree terraform-aws-vpc/examples -L 2cd terraform-aws-vpc/examples/simplels *.tfcat main.tf✅ 코드를 사용자 환경에 맞게 수정합니다... [T102 4주차] (14) 테라폼 모듈 (2)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4주차 정리입니다. 4주차 내용: 테라폼 모듈 😎 모듈과 프로바이더 모듈에서 사용되는 모든 리소스는 관련 프로바이더의 정의가 필요함 프로바이더 정의 ( inner vs outer ) ✔️ 유형 1 . 자식 모듈에서 프로바이더 정의 모듈에서 사용하는 프로바이더 버전과 구성 상세를 자식 모듈에서 정의 하는 방법이다. 프로바이더 버전과 구성에 민감하거나, 루트 모듈에서 프로바이더 정의 없이 자식 모듈이 독립적인 구조 일때 사용 하지만 동일한 프로바이더가 루트와 자식 양쪽에 또는 서로 다른 자식 모듈에 버전 조건 합의가 안 되면, 오류가 발생하고 모듈에 반복문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잘 사용하지 않는다. ✔️ 유형 2. 루트 모듈에서.. [T102 4주차] (13) 테라폼 모듈(1)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4주차 정리입니다. 4주차 내용: 테라폼 모듈 😃 테라폼 모듈? ✅ 테라폼으로 인프라와 서비스를 관리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구성이 복잡해지고 관리하는 리소스가 늘어나게 된다. 테라폼의 구성 파일과 디렉터리 구성에는 제약이 없기 때문에 단일 파일 구조상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 테라폼 구성에서 원하는 항목을 찾고 수정하는 것이 점점 어려워짐 ❌ 리소스들 간의 연관 관계가 복잡해질수록 변경 작업의 영향도를 분석하기 위한 노력이 늘어남 ❌ 개발/스테이징/프로덕션 환경으로 구분된 경우 비슷한 형태의 구성이 반복되어 업무 효율이 줄어듦 ❌ 새로운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경우 기존 구성에서 취해야 할 리소스 .. [T102 4주차] (12)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4주차 정리입니다. 4주차 내용: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1. 테라폼 워크스페이스란? ✅ State를 관리하는 논리적인 가상공간을 워크스페이스라 한다. (쿠버네티스의 네임스페이스와 유사함) ✅ 테라폼 구성 파일은 동일하지만 작업자는 서로 다른 경우 State를 갖는 실제 대상을 프로비저닝 할수 있다. ✅ 기본은 default로 정의 되며, 로컬 작업 환경에서 작업할 경우 기본 default 워크스페이스를 사용한다. terraform workspace list * default 2. 테라폼 워크스페이스 실습 ✅ 간단하게 가상머신 1개를 배포 해본다. ✅ 워크스페이스를 바꿔가면서 동일한 tf 파일을 활용해 가상머신을 3개까지 배포해보며 ec2 d.. (10) 테라폼으로 vmware 가상리소스 배포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3주차 정리입니다. 3주차 내용: 테라폼 프로바이더 프로바이더란? vsphere 프로바이더 사용법 vsphere 자격증명 설정 os golden image 생성 *매우 중요* vmware template 사용하여 vm 배포 1. 프로바이더? 테라폼은 terraform 바이너리 파일을 시작으로 로컬 환경에나 배포 서버와 같은 원격 환경에서 원하는 대상을 호출하는 방식으로 실행된다. 이때 ‘원하는 대상’은 호출하는 방식이 서로 다르지만 대상의 공급자, 즉 프로바이더가 제공하는 API를 호출해 상호작용을 한다. 여기서 테라폼이 대상과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프로바이더’다. 즉, AWS에 원하는 리소스를 생성 하려 할때 상호작용 .. [T102 3주차] (9) 테라폼 도전과제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2주차 정리입니다. 3주차 내용: 테라폼 기본사용법 (3) + 도전과제 조건문을 활용하여 (각자 편리한) AWS 리소스를 배포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내장 함수을 활용하여 (각자 편리한) 리소스를 배포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AWS EC2 배포 시 remote-exec/file 프로비저너 혹은 terraform-provider-ansible를 활용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terraform_data 리소스와 trigger_replace 를 사용한 테라폼 코드를 작성해보자! 1. 조건문 활용 AWS 리소스 배포 ami 리소스에 instance type을 조건문을 활용하여 variable 변수를 입력하지 않았을때 자동으로 t2.micro를 입력.. [T102 3주차] (8) 테라폼 기본사용법(3)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3주차 정리입니다. 3주차 내용: 테라폼 기본사용법 (3) 조건문 함수 프로비저너 (local, remote, file ) null resource와 terraform_data moved 블록 1. 조건문 테라폼에서의 조건식은 3항 연산자 형태를 갖는다. 조건은 true 또는 false로 확인되는 모든 표현식을 사용할 수 있다 비교, 논리 연산자를 사용해 조건을 확인한다 조건식은 (?) 기호를 기준으로 왼쪽은 조건이며, 오른쪽은 : 기호를 기준으로 왼쪽이 조건에 대해 true가 반환되는 경우이고 오른쪽이 false가 반환되는 경우다. # ? : var.a != "" ? var.a : "default-a" ? 기준으로 왼쪽 = 조건 : 기.. [T102 4주차] (11) 테라폼 상태 관리 및 격리 방안 cloudNet@ 팀의 가시다 님이 진행하는 테라폼 102 스터디 4주차 정리입니다. 4주차 내용: 테라폼 상태 및 격리 방안 1. 테라폼 State란? 상태 파일은 배포할 때마다 변경되는 프라이빗 API 로, 오직 테라폼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입니다. 상태 파일은 직접 편집하거나 직접 읽는 코드로 작성해서는 안됩니다. ✅ 팀 단위로 테라폼을 관리할 경우 상태 파일을 저장하는 공유 스토리지를 이용 합니다. 각 팀원이 동일한 테라폼 상태 파일 사용을 위해서, 공유 위치에 저장이 필요 하기 때문이죠. ✅ 상태 파일 잠금 ? - 잠금 기능 없이 두 팀원이 동시에 테라폼을 실행 한다면 상태 파일을 동시 업데이트 하기 때문에 충돌 가능 합니다. ( race condition ) ✅ 상태 파일 격리 ? - de.. 이전 1 ··· 7 8 9 10 11 12 13 다음